상주향교
천년의 역사를 잇는 상주향교의 모든 것을 만나보세요.
-
공자(孔子, BC.551∼ BC.479, 72세)
공부자(孔夫子)라고도 한다.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 노(魯)나라 사람으로 부(父)는 숙량흘(叔梁紇)이고, 모(母)는 안씨(顔氏)이다. 유교(儒敎)의 시조로서 예(禮)에 뛰어 났으며, 인(仁)의 정치를 펼치려 했으나 실패하여 유가 경전(儒家經典)을 정리·편찬하는 데 전념하고, 제자 양성에 힘써 3,000여 명의 제자들을 길러냈다. 공자의 사상을 담고 있는 『논어(論語)』는 그의 제자들이 편찬하였다. 노나라 대사구(大司寇, 최고위 재판관)를 지냈으며,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으로 추존되었다.
-
안자(顔子, BC.513∼ BC.482, 40세)
이름은 회(回). 자는 자연(子淵)·안연(顏淵)이다. 노(魯)나라 사람으로 부(父)는 무유(無유)이고, 모(母)는 강씨(姜氏)이다. 덕행수양에서 가장 뛰어난 공자의 수제자로 그의 인(仁)을 높이 평가하였다. 안빈낙도(安貧樂道)로 명리에 담백하였으며 자신의 장점과 공로를 자랑하지 않았다. 원나라 지순(至順) 원년(1330)에 연국 복성공(兗國復聖公)으로 추봉되었다.
-
증자(曾子, BC.506∼BC.436, 73세)
이름은 삼(參). 자는 자여(子輿)이다. 노(魯)나라 사람으로 부(父)는 점(點)인데 공자에게 수학하였다. 내성(內省)과 신독(愼獨)을 수양 학습의 근본으로 삼았으며 특히 효행을 실천한 효자로 효경(孝經)을 찬술하였다. 남송(南宋)시대에 안회, 증삼, 자사, 맹자를 사배(四配)로 추존하였고, 당나라 현종 27년(739)에 성백(郕伯)으로, 원나라 지순 원년(1330)에 성국 종성공(郕國宗聖公)으로 추봉되었다.
-
자사자(子思子, BC.483∼BC.402, 81세)
이름은 급(伋). 자는 자사(子思)이다. 노(魯)나라 사람으로 부(父)는 리(鯉)이고, 공부자의 손자이며, 중용(中庸)을 지었다. 유가의 사회 윤리관을 개괄하여 군신·부자·부부·형제·붕우(君臣父子夫婦兄弟朋友)의 교(交)를 천하의 달도(達道)라고 하였으며 지·인·용(智仁勇) 세 가지를 천하의 달덕(達德)이라고 하였다. 원나라 지순 원년(1330)에 기국 술성공(沂國述聖公)으로 추봉되었다.
-
맹자(孟子, BC.372∼BC.289)
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이자 정치가, 교육자이고 유가학파(儒家學派)의 대표적 인물이다. 이름은 가(軻). 자는 자여(子輿)·자거(子車)이다. 추(鄒)나라 사람으로 부(父)는 격공의(激公宜)이고, 모(母)는 장씨(仉氏)이다. 공자의 정통유학을 계승 발전시켰다.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로 일컬어지는 자녀 교육의 사표로 추앙을 받았으며 일생동안 유가의 이상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실현하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구현하기 위하여 주유 천하하면서 제후들에게 유세(遊說)를 하였다. 원나라 지순 원년에 추국 아성공(鄒國亞聖公)으로 추봉되었다.
-
비공(費公) 민손(閔損, BC.536∼BC.487)
공자보다 15세 어리다. 자는 자건(子騫)으로, 노나라 사람이며, 덕행과 효행이 뛰어 났다. 덕행에 안연과 민손이라고 할 만큼 최고의 제자라고 하였다. 송나라 탁종 3년(1267)에 비공으로 개봉(改封)되고 세종 9년(1530)에 선현(先賢)으로 개칭되었다.
-
운공(鄆公) 염경(冉耕, BC.544∼ ? )
자는 백우(伯牛)로, 노나라 사람이며, 덕행이 뛰어 났다.
-
설공(薛公) 염옹(冉雍, BC.522∼ ? )
자는 중궁(仲弓)으로, 노나라 사람이며, 공자보다 29세 연하이다. 덕행이 뛰어났다.
-
제공(齊公) 재여(宰予, BC.522∼BC.458)
자는 자아(子我)로, 말을 아주 유창하게 구사하고 외교 방면에 재능이 있었다.
-
여공(黎公) 단목사(端木賜, BC.520∼ ? )
자는 자공(子貢). 위나라 사람으로 외교 방면에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였다.
-
서공(徐公) 염구(冉求, BC.522∼BC.489)
자는 자유(子有), 주로 염유(冉有)로 불렸다. 노나라 사람으로, 정치 능력이 뛰어난 인물이다.
-
위공(衛公) 중유(仲由, BC.542∼BC.480)
자는 자로(子路)·계로(季路)이다. 공자보다 9세 아래이며, 정사와 효도에 뛰어났다.
-
오공(吳公) 언언(言偃, BC.506∼ ? )
자는 자유(子游)이고, 노나라 오군(吳郡) 사람이다. 예악정치를 실천하였다.
-
위공(魏公) 복상(卜商, BC.507∼BC.400)
자는 자하(子夏)이며, 문학에 재능이 있었다. 위나라 사람으로, 문학에 뛰어났다.
-
영천후(潁川侯) 전손사(顓孫師, BC.503∼ ? )
자는 자장(子張). 진(陳)나라 사람으로, 후기의 제자이다. 진공(陳公)으로 추봉되었다.
-
도국공(道國公) 주돈이(周敦頤, 1017∼1073)
자는 무숙(茂淑), 호는 염계(濂溪)이다. 송나라 도주(道州) 사람으로 본명은 돈실(敦實)이다. 북송의 철학가이다. 여남백(汝南伯)에 봉해졌다.
-
예국공(豫國公) 정호(程顥, 1032∼1085)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이다. 송나라 하남(河南) 사람으로 북송의 철학가이다. 하남백(河南伯)에 봉해졌다.
-
낙국공(洛國公) 정이(程頤, 1033∼1107)
자는 정숙(正叔), 호는 이천(伊川)으로, 명도(明道)의 아우이다. 송나라 하남(河南) 사람으로 북송의 철학가이다. 이천백(伊川伯)에 봉해졌다.
-
신안백(新安伯) 소옹(邵雍, 1011∼1077)
자는 요부(堯夫), 호는 안락(安樂)으로, 북송의 철학가로 송나라 명리학의 창시자 중의 한사람이다. 시호(諡號)는 강절(康節)이다.
-
미백(郿伯) 장재(張載, 1020∼1077) : 자는 자후(子厚)
자는 자후(子厚), 호는 횡거(橫渠)이다. 북송의 철학가로 송나라 명리학의 창시자 중의 한사람이다. 시호(諡號)는 명공(明公)이다.
-
휘국공(徽國公) 주희(朱熹, 1130∼1200)
자는 원회(元晦)·중히(仲晦), 호는 회암(晦菴)이다. 송나라 무원(婺源) 사람으로, 성리학을 집대성하여 그의 유학을 주자학이라 한다.
-
홍유후(弘儒侯) 설총(薛聰, 650∼740년경)
자는 총지(聰智), 호는 빙월당(氷月堂)이다. 경주 사람으로, 부는 원효(元曉)이다. 한림학사(翰林學士)이다.
-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857∼ ? )
자는 고운(孤雲), 호는 해운(海雲)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으로, 경주 최씨의 시조이다. 한림학사(翰林學士)이다.
-
문성공(文成公) 안유(安裕, 1243∼1306)
초명은 향(珦). 자는 사온(士蘊), 호는 회헌(晦軒)이다.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원나라에서 주자전서(朱子全書)를 들여 왔다.
-
문충공(文忠公)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초명은 몽란(夢蘭).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이다. 본관은 연일(延日)이며, 우리나라 성리학의 조종(祖宗)이다.
-
문경공(文敬公) 김굉필(金宏弼, 1454∼1504)
자는 대유(大猷), 호는 한훤당(寒暄堂)이다.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소학동자(小學童子)로 불린다.
-
문헌공(文獻公) 정여창(鄭汝昌, 1450∼1504)
자는 백욱(伯勗), 호는 일두(一蠹)이다.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우의정에 증직되었다.
-
문정공(文正公) 조광조(趙光祖, 1428∼1519)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庵)이다.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왕도정치를 구현하였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문원공(文元公) 이언적(李彦迪, 1491∼1553)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이다. 본관은 여주로, 청백리이다.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순공(文純公) 이황(李滉, 1501∼1570)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이다. 본관은 진성(眞城)으로, 조선 성리학의 거두로 영의정에 증직되었다.
-
문정공(文正公) 김인후(金麟厚, 1510∼1560)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이다.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성공(文成公) 이이(李珥, 1536∼1584)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이다.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조판서를 지냈고,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간공(文簡公) 성혼(成渾, 1535∼1598)
자는 호원(浩源), 호는 우계(牛溪)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좌참찬을 지냈으며,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원공(文元公) 김장생(金長生, 1548∼1631)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이다.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형조참판을 지냈으며,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열공(文烈公) 조헌(趙憲, 1544∼1592)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峰)이다. 본관은 백천(白川)으로, 임진란때 의병장을 지냈으며,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경공(文敬公) 김집(金集, 1574∼1659)
자는 사강(士剛), 호는 신독재(愼獨齋)이다.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의 아들이다.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 1607∼1689)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이다.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좌의정을 지냈으며,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정공(文正公) 송준길(宋浚吉, 1606∼1672)
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이다.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좌참찬을 지냈으며, 영의정을 증직받았다.
-
문순공(文純公) 박세채(朴世采, 1631∼1695)
자는 화숙(和叔), 호는 현석(玄石)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좌의정을 지냈으며, 영의정을 증직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