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향교

사이트맵

상주향교

천년의 역사를 잇는 상주향교의 모든 것을 만나보세요.

  • 제향공간(祭享空間)

    • 건축물 안내대성전(大成展), 동·서무(東西廡), 내삼문(內三門) (보물 제2096호, 2020.12.28.)
  • 대성전(大成殿)

    대성전(大成殿) :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어 1610년(광해 2)에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중건하였다.
    2005년 대성전 보수시 종도리 묵서(墨書) 발견. 창석 이준(李埈)이 지은 상량기문이 있다.
    면적은 156.2㎡(약 47.3평)이다. 앞면에 퇴칸을 둔 익공계 건물로 다포에 7량 가구를 한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특히 동편의 정면 앞쪽 벽면 기둥은 미세한 배흘림양식 기둥의 규모는, 바닥부분의 지름이 375㎜, 중방부분의 지름은 430㎜, 맨 위부분은 351㎜이다.[2020. 5.27. 실측 ㈜강인 남기호(보수 1412호, 실측설계사보) 을 띠고 있다. 양 옆에는 풍판을 달았다.

  • 동무(東廡) · 서무(西廡)

    1559년(명종 14)에 10칸 구모로 확장하였는데 임진왜란때 전소(全燒)되어 1612년(광해 4)에 중건하였다. 제향공간으로 정면 10칸, 측면 1.5칸으로 면적은 176.49㎡(53.4평)이다. 5량 가구의 홑처마에 맞배지붕으로 양 측면에는 풍판을 달았다.
    동무와 서무는 구조와 크기가 같으며 1949년 남산중학교 교실로 개조되어 사용되었다가 환원하였다. 평면은 전면에 퇴칸을 두고 내부는 3칸(3칸통+3칸통+4칸통)으로 실을 나누었다. 원래 평면은 통칸이었는데, 과거 학교 교실로 사용하면 칸을 나누 었다. 이런 평면구성은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동․서무와 유사하다. 기단은 동무는 1단, 서무는 3단으로 조성하였는데 특히, 경사진 지형을 최대한 북→남쪽으로 맞춰 기단은 경사지게 조성했으나 기둥의 높이 및 하인방 및 상인방의 높이를 조정해 전체 높이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건축하였다. 동무의 기둥 높이는 북쪽과 남쪽의 경우 350㎜가, 서무의 경우는 535㎜의 차이가 난다.
    건물 전체를 3부분으로 나누어 하인방을 조정하였다. 지형의 경사를 최대한으로 활용한 건축이다.

  • 내삼문(內三門)

    면적은 17.82㎡(약 5.4평)로 정면 3칸, 측면 1칸이다. 대성전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3량가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좌,우측에는 담장이 둘러져 제향공간의 영역을 구분한다.

  • 강학공간(講學空間)

    • 건축물 안내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남루(南樓), 전교당(典校堂), 화장실
  • 명륜당(講學空間)

    1607년에 루(樓) 형태로 중건하였다. 1832년에 중수를 하였으며, 1961년에 소실(燒失)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2009년에 복원하였는데, 정면 5칸, 측면 3칸(면적 159.03㎡, 약 48.1평)으로 가구는 1고주 5량가이다. 중당협실형으로 앞의 퇴칸은 개방 하여 마루를 깔았고, 내부는 중앙 3칸을 대청으로 구성하였으며, 좌·우에는 온돌방을 두었다. 앞 면의 창호는 들어걸개로 하였다.

  • 동재(東齋)․서재(西齋)

    동재는 1486년(성종 17)에 중창하였다. 임란으로 전소되어 1617년(광해 9)에 중건하였다. 6.25동란 때 서재는 소실(燒失)되었고, 1951년 동재는 향교 밖 언덕으로 이건하여 남산중학교 사무실로 사용하였다. 1990년 복원 시 정면 3칸, 측면 2칸이었는데, 2009년 명륜당 복원 시 남쪽으로 이건하면서 정면 5칸, 측면 1.5칸으로 증축(59.77㎡, 18평)하였다. 평면구성은 전 퇴간을 두고 마루를 깔았고, 중앙에 대청을 두고 좌 · 우측으로 온돌방으로 구성하였다.

  • 남루(南樓)

    명륜당의 전면에 위치하여 외삼문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명륜당으로 사용하였던 건물로, 임진왜란 때 건물이 소실되자 중건(1607년, 선조 40)때의 건물이다. 1949년 상주고등공민학교시 교무실로 사용하다가 1961년 화재로 소실되어 1991년에 복원하였다.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계 중층 팔작지붕 건물과 좌․우측 퇴칸 배면으로 정면 2칸, 측면 2칸 규모의 맞 배지붕 건물이 결합된 형태로 동익실(東翼室)과 서익실(西翼室)을 두었다. 전체 면적은 115.01㎡이다. 하층에는 삼문이 위치하고 상부에는 통칸 형식으로 마루를 깔았다. 하층 외삼문을 들어서면 계단이 전면에 위치하고 좌·우의 퇴칸에 상층 마루로 오르도록 계단이 조성되어 있다. 하층에서 전면에는 헌함을 두고 계자난간을 조성하였다.

  • 전교당(典校堂)

    정면 3칸, 측면 1.5칸의 민도리계 맞배지붕으로 면적은 25.53㎡(7.66평)이다. 1994년에 이곳으로 이건하여 2020년 5월에 화장실 신축으로 남쪽으로 3m 이건하였다. 어칸과 동측 1칸은 전면에 작은 툇마루를 두고 내부는 실(室)로, 서편 1칸은 부엌이다. 당초에 고직사로 불려 오다가 2020년 5월 이건하면서 전교당으로 바꾸었다.